Linux5 [Linux] scp 명령어 SCP(Secure Copy)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원격지에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환경에서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와 identity file을 사용해서 파일을 송수신하여 보안적으로도 안정적이다. 원격지에서 파일을 받아오거나 보내야 할 때가 종종 있는데, scp 명령어를 사용하여 쉽게 주고 받을 수 있다. ❗ 모든 명령어는 로컬 서버에서 입력한다. ❗ 파일은 파일이 위치하는 곳에서 입력시 경로가 필요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파일의 경로를 명시해주어야 한다. ex) /c/test/git 안에 있는 testfile.txt 파일을 전송하려고 할 때, 현재 위치가 /c/test/git 이라면 scp testfile.tx.. 2023. 1. 6. [Linux] 심볼릭 링크 (symbolic link) 링크를 연결하여 원본 파일을 직접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링크이다. 윈도우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심볼릭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ln -s [원본파일경로] [링크파일경로] 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s 자리는 옵션 위치이며, 필요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ln 명령어 옵션 -s : 심볼릭링크 생성 -b : 링크파일 생성 시 대상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백업파일을 만든 후 링크파일을 생성 -d : 디렉토리에 대한 하드링크 파일생성을 가능하게 함 -f : 대상파일이 존재할 경우 대상파일을 지우고 링크파일을 생성 -i : 대상파일이 존재할 경우 대상파일을 지울건지를 확인 -t : 링크파일을 생성할 디렉토리를 지정 심볼릭 링크 연결 후 파일을 확인해보면 .. 2023. 1. 2. [Linux] CentOS - yum 명령어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CentOS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시스템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RPM(Redhat Package Manager) 기반의 시스템 자동 업데이터, 패키지 설치/삭제 도구로, RPM과 달리 자동적의로 의존성을 처리해준다.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해당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etc/yum.conf에서 내용을 설정하고 /etc/yum.repos.d/디렉토리의 레포지터리 파일에 지정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된 패키지들을 검사하고 설치할 수 있다.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의 형태로 사용한다. 주요 명령어 yum instal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를 install 한다... 2023. 1. 2. [Linux] sudo apt-get 명령이 없습니다 apt-get : command not found? sudo apt-get 명령이 없습니다 위와 같은 오류는 해당 리눅스 배포판이 apt-get 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apt-get 대신 yum 을 사용하면 된다. Debian 계열 - Ubuntu : apt를 사용 Red Hat 계열 - CentOS : yum을 사용 SUSE 계열 : zypper를 사용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Linux]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 (tistory.com) [Linux]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 2022. 12. 30. [Linux]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를 알아본다. 데비안(Debian) 데비안은 GNU CPL 라이선스 기반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인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초 배포판인 SLS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별도의 패키지 관리 도구인 apt, dpkg를 이용하여 패키지 업데이트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등 패키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우분투(Ubuntu)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가지고 있어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많이 사용된다. 레드햇(Red Hat) 가장 많이 사용되고 널리 알려진 리눅스 배포판으로 기업용 서버 OS로 인기가 있어 현업에서 많이 사용된다. GUI를 제공.. 2022. 12.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