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3 [Linux] 가상머신과 이미지파일 가상머신(Virtual Machine) 가상머신은 물리적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논리적으로 웅영될 수 없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환경을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쉽게 이해하려면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어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표적으로 VMware, VirtualBox, DOSBOX 등이 있다.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이유에는, 기존의 운영체제와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려고 할 때 (다양한 OS를 사용), 백업이나 테스트 등 독립된 작업공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디스크 이미지 파일 (Disk Image) 가상머신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꼭 알아야하는 개념 중 하나인 이미지파일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 파일은 우리가 생각하는 사진, 그림과 같은 이미지가.. 2023. 1. 2. [Linux] CentOS - yum 명령어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CentOS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시스템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RPM(Redhat Package Manager) 기반의 시스템 자동 업데이터, 패키지 설치/삭제 도구로, RPM과 달리 자동적의로 의존성을 처리해준다.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해당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etc/yum.conf에서 내용을 설정하고 /etc/yum.repos.d/디렉토리의 레포지터리 파일에 지정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된 패키지들을 검사하고 설치할 수 있다.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의 형태로 사용한다. 주요 명령어 yum instal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를 install 한다... 2023. 1. 2. [Linux] sudo apt-get 명령이 없습니다 apt-get : command not found? sudo apt-get 명령이 없습니다 위와 같은 오류는 해당 리눅스 배포판이 apt-get 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apt-get 대신 yum 을 사용하면 된다. Debian 계열 - Ubuntu : apt를 사용 Red Hat 계열 - CentOS : yum을 사용 SUSE 계열 : zypper를 사용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Linux]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 (tistory.com) [Linux]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수세(SUSE)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데비안(Debian), 레드햇(Red Hat), .. 2022. 12.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