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CentOS - yum 명령어

by 단델x 2023. 1. 2.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 CentOS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시스템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RPM(Redhat Package Manager) 기반의 시스템 자동 업데이터, 패키지 설치/삭제 도구로, RPM과 달리 자동적의로 의존성을 처리해준다.
  •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해당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 /etc/yum.conf에서 내용을 설정하고 /etc/yum.repos.d/디렉토리의 레포지터리 파일에 지정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된 패키지들을 검사하고 설치할 수 있다.
  •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의 형태로 사용한다.

주요 명령어

  • yum instal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를 install 한다.
  • yum update [패키지명]
    해당 패키지의 새 버전이 있으면 update 한다.
    패키지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
    -y 옵션을 주면 모든 물음에 yes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 yum remove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를 제거한다.
  • yum clean all : 캐시되어 있는 내용을 모두 지운다.
  • yum list : 저장소 서버의 모든 패키지 목록을 확인한다.
    - yum list updates : 설치된 패키지 중 업데이트 된 패키지만 확인
    - yum list installed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의 설치여부를 확인
    - yum list all : 설치가 가능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
    - yum list available : 설치된 패키지 리스트를 확인

댓글